동화<다섯 시 반에 멈춘 시계>는 시계가 쌀에 버금가는 고가품이던 시절 친구 시계를 빌려차고 간 주인공 인규가 공중화장실에 시계를 빠뜨리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이야기이다. 값비싼 시계를 잃고 생병이 난 손주를 보듬는 할머니 손길은 빠르게 움직인다. 쌀 다섯 말 값을 주고 헌시계를 새시계로 물어준 할머니와 어머니 수고가 무색하게 인규는 시계를 일부러 감추어 팔아먹고, 서울에서 놀러온 형 시계까지 훔쳤다는 엉뚱한 누명을 쓰게 된다. 결국 인규 누명을 벗기기 위해 공중화장실 똥을 직접 퍼서 시계를 찾아나서는 아버지. 가족만이 보여줄 수 있는 무한한 사랑과 포옹이 뭉클해지는 이야기다.
똥에 얽힌 사연 한두 가지쯤 없는 이가 있을까? 어린 시절 재래식 화장실에 밤늦게 갈 때 생각나는 귀신 이야기 때문에 떨었던 일들, 학교 재래식 화장실이 어두워 발이 빠지는 아이들이 종종 있곤 했던 일들... 책을 읽어가며 그저 많고 많은 기억 속 단편들에 불과했던 일들이 추억이라는 예쁜 이름을 얹혀져 소환된다. 그와 동시에 따뜻해지고 미소가 번진다. 그리고 나의 어린 시절이 제법 그럴 듯하게 보인다.
공감할 수 있는, 그리고 그 공감 속에 가족애가, 보듬는 포옹이 따스함으로 다가오는, 그래서 아름다운 이야기다.
"우리는 뱃속에 똥을 넣고 다니면서 가까이 볼 수 없는 시대에 산다. 화장실이 되어 집안으로 들어왔지만 똥의 행방이 묘연한 시대를 산다.
- p.123"
"똥이 좋은 거름이 되어 우리를 살리던 시대에서 똥이 소용 없는, 그래서 돈을 들여 가면서 멀리 보이지도 않는 곳으로 버려야 되는 시대로 변하는 때가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된다. - p.126"
똥을 사랑할 줄 알았던 시대는 사물의 가치를 외양에 두지 않던 시절이다. 그러니 똥냄새 따위가 그 가치를 폄하하는 이유가 될 수 없었다.
하지만 사물의 가치를 내면에 두지 않으면서 사람들은 많은 것을 잃어간다. 보이는 것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면서 사람들은 진정한 가치를 보지 못한다. 눈을 떴으나 보지 못하는 시대가 가슴 아프다.
'책과 만나는 시간 > 감상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께 아파하며 위로받다 - 뮤지컬<빨래> (0) | 2018.12.04 |
---|---|
자연을 떠난 온달의 비극 - <바보 온달> 이현주 장편동화 (0) | 2018.12.04 |
담담해서 더 따뜻한 삶 - 단편소설 <유턴지점에 보물지도를 묻다>를 읽고 (0) | 2018.11.11 |
음악이 주는 경이로운 감동 - 영화<보헤미안 랩소디>를 보고 (0) | 2018.11.07 |
담백한 일렁임에 떠다니다 - 소설<떠다니네>를 읽고 (0) | 2018.11.06 |